본문 바로가기

IT상식

(26)
SSL VPN 과 IPsec VPN 이해하기 [ Site to Site VPN ] * 과거에는 VPN 기술이 발전하기 전이므로 전용회선을 통한 기업 본사와 지사 간 연결을 하였다. * VPN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터넷망에서 VPN 기술을 통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전용회선과 같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. * Site-to-Site VPN은 지사나 본사이 사용자들이 네트워크가 항시 전용회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. * 접속방식 이후에 암호화 방식이다. [ Site to Client VPN ] * 개인 사용자가 외부업무를 보다가 회사의 인트라넷 또는 ERP 서버등으로 접속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VPN 방식이다. * 개인용 PC에 접속용 클라이언트가 있으며 항시 연결이 아닌 필요할 때마다 인증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이다. * Local ..
윈도우 IIS서버에 SSL 설치하기 [ 인증서 설치 ] * IIS서버에서 윈도우 실행 창에서 'mmc' 입력 후 [확인] 클릭 --> 콘솔 루트가 실행됨 * 콘솔 루트에서 파일 메뉴 -> 스냅인 추가/제거 -> 사용 가능한 스냅인에서 '인증서'를 더블클릭 * 인증서 스냅인 창에서 '컴퓨터 계정(C)'을 선택하고 [다음] 클릭 * 컴퓨터 선택에서 '로컬 컴퓨터'를 선택하고 [마침] 클릭 * 콘솔 루트의 선택한 스냅인에 해당 인증서가 추가된 것이 보이면 [확인] 클릭 * 콘솔 루트의 아래에 '인증서(로컬 컴퓨터)'가 생겼음을 확인한다. * 인증서(로컬 컴퓨터) 하위에서 '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 기관'에 마우스 우클릭 -> 모든 작업 -> 가져오기 클릭 * 인증서 가져오기 마법사에서 [다음] 클릭 * [찾아보기] 클릭하여 준비된 인증서 파일..
HTTP/HTTPS 및 WS/WSS 차이점 알아보기 [ HTTP 와 HTTPS 차이점 ] * 웹 싸이트 접속 시 URL 맨 앞에 있는 http:// 또는 https:// 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규칙을 뜻한다. 즉 HTTP 프로토콜 또는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의미 한다. * 웹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HTTP 이외에도 FTP, SMTP 등 각 서비스에 맞는 통신 규약이 정의되어 있다. * HTTPS는 HTTP 뒤에 'S'가 붙는데 이는 보안(Secure)을 의미하며 차이점은 인증서의 유무이다. * HTTP 통신 시에는 PC의 브라우저와 웹서버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가 노출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주는 것이 HTTPS인 것이다. * HTTPS로 통신하는 경우 중간에 헤커가 데이터를 취득하더라도 ..
내 PC의 호스트 이름(hostname) 변경하기 [ 내 PC의 호스트 이름 확인하기 ] * 내 PC의 호스트 이름을 확인하는 방법은 제이판의 설정화면에서 확인하거나 Command창에서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. * Command 창에서 hostname 또는 ipconfig/all 로 확인한다. * 바탕화면 또는 탐색기에서 내 PC 우클릭 후 속성 클릭하면 장치이름으로 표기되고 있다. * '이 PC의 이름 바꾸기'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한다. * 리부팅 하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리부팅 후 Command 창에서 이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. * 제어판 설정화면에서도 동일하게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구글 드라이브 환경 설정[Google Drive] [ 신버전 업데이트에 따른 고려사항 ] * 최근 구글드라이브가 업그레이드되어서 일단 설치를 진행했는데 설치 후 환경설정 방법을 잘 몰라서 대충 진행한 후 기존 동기화 폴더가 동기화되지 않는 혼란이 있었기에 고려할 사항들을 정리해 본다. * 데스크탑용 Agent 이름이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다. - 변경전 : Backup and Sync from Google - 변경후 : Google Drive * 우선 신버전으로 변경설치 하여도 기존에 제공되는 모든 기능은 사용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. * 신버전으로 업데이트 설치 시 기존 프로그램이 삭제되지 않고 메뉴에 남아 있어서 혼돈이 올 수 있다.(수작업으로 실행하려고 해도 실행되지는 않고 제거하라는 메시지 나오기 때문에 중요한 사안은 아니다) * ..
CentOS 와 Rocky Linux 이해하기 [ 검토 개요 ] *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레드햇이 CentOS 버전 8을 끝으로 개발을 종료하기로 하였고, 2021.12.31 까지만 지원하기로 발표하였다. * 이에 따른 대한 대안으로 Rocky Linux를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. [ CentOS 대체 필요성 ] * CentOS는 유료였던 RHEL(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)와 거의 완벽하게 호환되는 무료 기업용 리눅스 운영체재이다. * 기업용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안정된 리눅스 배포판이면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지지를 받았다. * 레드햇은 2020년 12월에 8 버전은 2021.12.31에 지원이 중단될 예정이고, 대신 CentOS Stream이 프리뷰 테스트 버전으로 나온다고 발표했다. 또한 7 버전은 2024년에 지원이 중단될..
5G 주파수 대역 (3.5GHz / 28GHz) 비교하기 [ 5G 서비스 현황 ] * 5G 서비스는 현재 3.5 GHz 주파수로 상용화된 상태이고, 28 GHz 주파수 대역은 인프라를 확대하고 있는 상태이다. * 6 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5G 네트워크 속도는 LTE보다 빠르나 28 GHz 초고주파를 이용한 5G보다 느리다. * 28 GHz 대역은 1초에 3GB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게 가능하다. * 만약, 28GHz 대역의 서비스가 시작되면 기존 5G 서비스지역 이용자들의 속도가 높아지고, 스마트팩토리, 자율주행 등 기업용 시장에도 활용될 것 같다. * 그러나 28GHz 대역은 서비스 도달 영역이 3.5 GHz 대비 10~15% 수준으로 좁고 장애물을 피해 가는 회절성이 약해 기술적으로 다루기 까다롭다. * 결국 28GHz 대역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..
기술성숙도 단계 알아보기[TRL] [ TRL 이해하기 ] * TRL(Technology Readiness Level)은 기술준비도를 평가하기 위한 미터법으로 미국 NASA에서 처음 정의되었으나, 현재는 민간 R&D 프로그램에 맞게 재정의되어 사용되고 있다. * 개발기술의 성숙도 또는 이행단계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화된 측정지표로, 연구개발환경(실험실, 유사환경, 실제환경), 연구개발결과물(시제품, 완제품), 기술수준(개념, 시현, 성능검증)에 따라 기술성숙도를 분류한다. [ TRL 단계별 기술의 레벨 ] 단계 개요 내용 기초 연구 단계 1단계 기초 이론/실험 • 기초이론 정립 단계 2단계 실용 목적의 아이디어,특허 등 개념정립 • 기술개발 개념 정립 및 아이디어에 대한 특허 출원 단계 실험 단계 3단계 실험실 규모의 기본성능 검증 • 실험..